참고자료 9-1일 평균 화장품 사용량 및 사용빈도



*출처: 식품의약품안전처. (2017.4). 한국인 화장품 어떻게 사용하나요?(화장품 위해평가를 위한 국내 화장품 사용량 조사)


참고자료 9-1일 평균 화장품 사용량 및 사용빈도

1일 평균 화장품 사용량(g/day) 및 1일 사용빈도(여성)

≫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화장품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, 국내 소비자들이 액체나 폼 형태의 손세정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음
≫ 이번 조사는 화장품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정도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화장품 사용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성인 남·녀 등 1,8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함

≫ 조사방법은 전국 5대 도시(6개 지역) 만 15세부터 59세까지 남녀 1,538명(남583명, 여955명), 만 3세 이하 영·유아 부모 336명 (남 170명, 여 166명)을 선정하여, 평소 사용 중인 54개 제품(10개 유형 자외선 차단제)을 화장품 유형에 따라 조사대상자들을 나누어 14일 동안 실제 사용한 양을 측정함



참고자료 10 – 미생물 오염의 종류 및 생육조건

*출처: 화장품과 보존제, 대한화장품협회.


미생물 오염의 종류

구분내용
1차 오염공장 제조에서 유래하는 오염작업장 먼지(공기), 오염된 물, 화장품 재료, 보관, 기타 제조 장비 등
2차 오염소비자에 의한 사용 중의
미생물 오염
푸른곰팡이, 맥아곰팡이손가락을 넣어 화장품을 꺼냄. 사용하고 남은 내용물을 다시 넣음. 뚜껑을 연 채로 방치
공기 (8 ~ 35 x 102/m3), 토양 (1 x 108~ 4 x1010/g), 두피 (1.4 x 107/cm2)
얼굴이나 손에도 다량의 균이 상재 (피부상재균)

미생물 생육조건 및 오염균

구분세균진균
박테리아(bacteria)효모(yeast)곰팡이(mold)
생육온도25 ~ 37℃25 ~ 30℃25 ~ 30℃
좋은 영양소단백질, 아미노산, 동물성 식품당질, 식물성 식품전분, 식물성 식품
생육 pH 영역약산 ~ 약알칼리산성산성
공기(산소) 요구성대부분 호기성호기성 ~ 혐기성호기성
주요 생성물아민, 암모니아, 산류, 탄산가스알코올, 산류, 탄산가스산류
대표적인 오염균황색포도상구균, 대장균, 녹농균빵효모, 칸디다균푸른곰팡이, 맥아곰팡이
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