설비명 | 세척 및 위생처리 |
탱크 (tanks) | ≫ 탱크는 세척하기 쉽게 고안되어야 함 ≫ 제품에 접촉하는 모든 표면은 검사와 기계적인 세척을 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함 ≫ 세척을 위해 부속품 해체가 용이하여야 함 ≫ 최초 사용 전에 모든 설비는 세척되어야 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소독되어야 함 ≫ 반응할 수 있는 제품의 경우 표면을 비활성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기 전에 표면 부동태(passivation)를 추천함 ≫ 설비의 일부분 변경 시에도 어떤 경우에는 다시 부동태화 필요할 수 있음 ≫ clean-in-place 시스템(스프레이 볼/스팀세척기 같은)은 제품과 접촉되는 표면에 쉽게 접근할 수 없을 때 사용될 수 있음 ≫ 설비의 악화 또는 손상이 확인되고 처리되는 동안에는 모든 장비의 해체 청소가 필요함 ≫ 가는 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리적/미생물 또는 교차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청소하기 어려움 ≫ 탱크는 완전히 내용물이 빠지도록 설계해야 함 ≫ 위생(sanitary) 밸브와 연결부위는 비위생적인 틈을 방지하기 위해 추천되며 세척/위생처리를 용이하게 하며 여러 가지 상태에서 사용을 할 수 있게 함 ≫ 밸브들은 청소하기 어려운 부분이나, 정체부위(dead legs)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함 |
펌프 (pumps) | ≫ 펌프는 일상적인 예정된 청소와 유지관리를 위하여 허용된 작업 범위에 대해 라벨을 확인해야 함 ≫ 효과적인 청소와 위생을 위해 각각의 펌프 디자인을 검증해야 하고 철저한 예방적인 유지관리 절차 준수 ≫ 펌프 설계는 펌핑 시 생성되는 압력을 고려해야 하고 적합한 위생적인 압력 해소 장치가 설치되어야 함 |
혼합과 교반 장치(mixing and agitation equipment) | ≫ 다양한 작업으로 인해 혼합기와 구성 설비의 빈번한 청소가 요구될 경우, 쉽게 제거될 수 있는 혼합기를 선택하면 철저한 청소를 할 수 있음 ≫ 풋베어링, 조절장치 받침, 주요 진로, 고정나사 등을 청소하기 위해서 고려하여야 함 |
호스 (hoses) | ≫ 호스와 부속품의 안쪽과 바깥쪽 표면은 모두 제품과 직접 접하기 때문에 청소의 용이성을 위해 설계되어야 함 ≫ 투명한 재질은 청결과 잔금 또는 깨짐 같은 문제에 대한 호스의 검사를 용이하게 함 ≫ 짧은 길이 경우는 청소, 건조 그리고 취급하기 쉽고 제품이 축적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선호됨 ≫ 세척제(스팀, 세제, 소독제 및 용매)들이 호스와 부속품 제재에 적합한지 검토되어야 함 ≫ 부속품이 해체와 청소가 용이하도록 설계 되는 것이 바람직, 가는 부속품의 사용은 가는 관이 미생물 또는 교차 오염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청소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화되어야 함 ≫ 일상적인 호스세척 절차의 문서화 확립이 필요함 |
이송 파이프 (transport piping) | ≫ 청소와 정규 검사를 위해 쉽게 해체될 수 있는 파이프 시스템이 다양한 사용조건을 위해 고려되어야 함 ≫ 파이프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동안 가득 차도록 하고 가동하지 않을 때는 배출하도록 고안되어야 함 ≫ 오염시킬 수 있는 정체부위(dead legs)가 없도록 함 ≫ 파이프 시스템은 축소와 확장을 최소화하도록 고안되어야 함 ≫ 시스템은 밸브와 부속품이 일반적인 오염원이기 때문에 최소의 숫자로 설계되어야 함 ≫ 메인 파이프에서 두 번째 라인으로 흘러가도록 밸브를 사용할 때 밸브는 정체부위(dead legs)를 방지하기 위해 주 흐름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해야 함 |
칭량 장치 (weighing device) | ≫ 칭량장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청소할 때에는 적절한 주의가 필요함 ≫ 먼지 등의 제거는 부드러운 브러시 등을 활용함 |
게이지와 미터(gauges and meters | ≫ 게이지와 미터가 일반적으로 청소를 위해 해체되지 않을 지라도, 설계 시 제품과 접하는 부분의 청소가 쉽게 만들어져야 함 |
제품 충전기 (product filler) | ≫ 제품 충전기는 청소, 위생 처리 및 정기적인 감사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함 ≫ 충전기가 멀티서비스 조작에 사용되거나, 미생물오염 우려가 있는 제품인 경우 특히 중요함 ≫ 충전기는 조작 중에 제품이 뭉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설비에서 물질이 완전히 빠져나가도록 해야 함 ≫ 제품이 고여서 설비의 오염이 생기는 사각지대가 없도록 해야 함 ≫ 고온세척 또는 화학적 위생처리 조작을 할 때 구성 물질과 다른 설계 조건에 있어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야 함 ≫ 청소를 위한 충전기의 용이한 해체가 권장됨 ≫ 청소와 위생처리과정의 효과는 적절한 방법으로 확인해야 함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