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교수·학습 가이드 16-포장재의 관리
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교수·학습 가이드 16-포장재의 관리 공부하러 오신 분들을 환영합니다.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공부에 중요한 교재인 교수·학습 가이드에서 포장재의 관리 부분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교수·학습 가이드 16-포장재의 관리(입고관리, 육안검사, 입고검사, 1차 포장, 2차 포장)에 관한 내용을

식약처자료(개정2판)을 근거로 작성했습니다.


Ⅲ 유통화장품 안전관리

3.5. 포장재의 관리

3.5.1. 포장재의 입고 기준

① 포장재 종류 및 입고기준

포장재의
용어
정의
≫ 원자재, 포장재의 정의
– 원자재
: 화장품 원료 및 자재, 즉 화장품 제조 시 사용된 원료, 용기, 포장재, 표시재료, 첨부문서 등
– 포장재
: 화장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말하며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외부 포장재는 제외한 것

– 1차 포장
: 화장품 제조 시 내용물과 직접 접촉하는 포장용기
– 2차 포장
: 1차 포장을 수용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포장과 보호재 및 표시의 목적으로 한 포장(첨부문서 등)
– 안전용 용기·포장
: 만 5세 미만의 어린이가 개봉하기 어렵게 설계·고안된 용기나 포장
화장품
포장재의
특징 및
분류
≫ 화장품 포장재의 소재별 분류 및 특징
– 유리
: 투명감이 좋고 광택이 있으며 착색이 가능함. 유지, 유화제 등 화장품 원료에 대해 내성이 크고, 수분, 향료, 에탄올, 기체 등이 투과되지 않음
: 세정, 건조, 멸균의 조건에서도 잘 견딤

– 플라스틱
: 거의 모든 화장품 용기에 이용되고 있으며, 열가소성 수지(PET, PP, PS, PE, ABS 등)와 열경화성 수지(페놀, 멜라민, 에폭시수지 등)로 나뉨
: 플라스틱의 장점으로 가공이 용이, 자유로운 착색이 가능하고 투명성이 좋음, 가볍고 튼튼함, 전기절연성, 내수성(물을 흡수하지 않음), 단열성 등이 있음

: 단점으로는 열에 약함, 변형되기 쉬움, 표면에 흠집이 잘 생기고 오염되기 쉬움, 강도가 금속에 비해 약함, 가스나 수증기 등의 투과성이 있으며 용제에 약하다는 점이 있음
– 금속
: 철, 스테인리스강, 놋쇠, 알루미늄, 주석 등이 해당하며, 화장품 용기의 튜브, 뚜껑, 에어로졸 용기, 립스틱케이스 등에 사용됨

: 금속의 장점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, 얇아도 충분한 강도가 있으며 충격에 강하고, 가스 등을 투과시키지않는다는 점이 있음
: 도금, 도장 등의 표면가공이 쉬움
: 단, 녹에 대해 주의해야 하며 불투명하고 무거우며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음

– 종이
: 주로 포장상자, 완충제, 종이드럼, 포장지, 라벨 등에 이용
: 상자에는 통상의 접는 상자 외에 풀로 붙이는 상자, 선물세트 등의 상자가 있음
: 포장지나 라벨의 경우 종이 소재에 필름을 붙이는 코팅을 하여 광택을 증가시키는 것도 있음 / [참고자료 32] 참고 : ▶ 바로가기
포장재의
입고관리
≫ 포장재의 입고관리
– 시험성적서 확인
: 포장재 규격서에 따른 용기 종류 및 재질을 파악·점검
– 관능 검사
: 재질, 용량, 치수, 외관, 인쇄내용, 이물질오염 등 위생상태 점검
– 유통기한 확인

≫ 포장재 관리에 필요한 사항
– 중요도 분류
– 공급자 결정
– 발주
– 입고
– 식별·표시
– 합격·불합격 판정

– 보관
– 불출
– 보관환경 설정
– 사용기한 설정
– 정기적 재고관리
– 재평가
– 재보관
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-15_포장재의-관리

3.5.2. 입고된 포장재 관리기준

① 포장재의 품질관리 기준 및 보관 조건

입고된
포장재

관리
기준
≫ 포장재의 보관 조건
–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조건에서 보관하여야 하며 보관기한을 설정하여야 함
– 바닥과 벽에 닿지 아니하도록 보관하고, 선입선출에 의하여 출고할 수 있도록 보관하여야 함

– 시험 중인 제품 및 부적합품은 각각 구획된 장소에서 보관하여야 함(다만, 서로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없는 시스템에 의하여 보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함)
– 설정된 보관기한이 지나면 사용의 적절성을 결정하기 위해 재평가시스템을 확립하여야 하며, 동 시스템을 통해 보관기한이 경과한 경우 사용하지 않도록 규정하여야 함
/ [참고자료 33] 참고 : ▶ 바로가기
≫ 포장재의 품질관리 기준
– 해당 업소가 설정한 기준 규격: 업소에서 자체적으로 포장재에 대한 기준 규격을 설정하여야 함
– 1차 포장 용기의 청결성 확보: 당 업소 자체 세척 또는 용기 공급업자 제공
– 세척 방법에 대한 유효성 및 정기적 점검 확인
– 작업 시 확인 및 점검: 포장 작업 전에 이물질의 혼입이 없도록 작업구역 정리가 필요함
– 완제품에는 포장재에 제조번호 부여

3.5.3. 보관중인 포장재 출고기준

① 출고 기준

포장재의
출고
기준
≫ 보관중인 포장재의 출고 기준
– 작업에 필요한 절차서 및 기록서 비치
: 선입선출 방식의 출고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체계 수립
– 승인된 자만이 포장재 불출(출고) 절차 수행 / [참고자료 34] 참고 : ▶ 바로가기
≫ 포장 작업에 대한 기준
– 포장 작업에 관한 문서화된 절차를 수립하고 유지하여야 함
– 포장 작업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포장지시서에 의해 수행되어야 함
: 제품명
: 포장 설비명
: 포장재 리스트

: 상세한 포장공정
: 포장생산수량
– 포장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포장 작업 관련 문서의 완비 여부, 포장 설비의 청결 및 작동여부 등을 점검해야 함
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-15_포장재의-관리

3.5.4. 포장재의 폐기 기준

① 포장재의 폐기 기준

포장재의
폐기기준
≫ 포장재의 폐기 기준 및 관리
– 보관기간, 유효기간 경과 시 업소 자체 규정에 따라 폐기
– 포장 중 불량품 발견 시 정상 제품과 구분하여 불량 포장재 인수·인계 또는 별도 장소로 이송
– 불량 포장재의 부적합처리
: 창고 이송 후 반품 또는 폐기 처리
– 해당 업체에 시정 요구 등 필요 조치

≫ 포장재의 기준 일탈 및 재작업
– 기준 일탈 제품
: 포장재가 적합판정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를 지칭
– 기준일탈 제품 발생 시
: 미리 정한 절차를 따라 확실한 처리를 하고 실시한 내용을 모두 문서에 남김
– 재작업
: 적합판정기준을 벗어난 완제품 또는 벌크제품을 재처리하여 품질이 적합한 범위에 들어오도록 하는 작업
– 재작업 처리의 실시
: 품질보증 책임자가 결정함. 재작업은 해당 재작업 절차를 상세하게 작성한 절차서를 준비해 실시하고, 재작업 실시 시 발생한 모든 일들을 재작업 제조기록서에 기록함
[참고자료 35] 참고 : ▶ 바로가기

3.5.5. 포장재의 (개봉 후) 사용기한 확인·판정

① 포장재의 (개봉 후) 사용기한

화장품
포장재의
(개봉 후)
사용기한
표기
≫ 화장품 포장재의 (개봉 후) 사용기한 표기
– 사용기한 및 보관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문서화된 시스템 확립
– 사용기한을 준수하는 보관기간 설정
– 보관기간 경과 시 재평가
: 해당 업소에서 자체적으로 재평가시스템 확립
– 사용기한 내에 자체적인 재시험 기간 설정 및 준수
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-15_포장재의-관리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교수·학습 가이드 16-포장재의 관리

3.5.6. 포장재의 변질 상태 확인

① 포장재의 품질 특성

포장재의
변질
≫ 포장재의 변질 상태 확인
– 소재별 특성을 이해한 변질 상태 예측 확인
– 관능검사, 필요 시 이화학적 검사
– 포장재 샘플링을 통한 엄격한 관리
포장재의
변질
예방
≫ 포장재의 변질 예방
– 소재별 특성 이해
: 유리, 플라스틱, 금속, 종이 등
– 보관 방법, 보관 조건, 보관 환경, 보관 기간 등에 대한 숙지
– 온도, 습도 등 물리적 환경의 적합도 숙지

– 벌레 및 쥐에 대비한 보관 장소
– 포장재 보관 창고 출입자 관리를 통한 오염 방지 / [참고자료 36] 참고 : ▶ 바로가기

3.5.7. 포장재의 폐기 절차

① 포장재의 폐기 기준 및 절차

포장재의
폐기 기준
및 절차
≫ 포장재의 폐기 기준
– 기준 일탈의 발생
– 기준 일탈의 조사
– 기준 일탈의 처리
– 폐기 처분
포장재의
폐기기준
및 절차
≫ 포장재의 폐기 절차
– 기준 일탈 포장재에 부적합 라벨 부착
– 격리 보관
– 폐기물 수거함에 분리수거 카드 부착
– 폐기물 보관소로 운반하여 분리수거 확인
– 폐기물 대장 기록
– 인계 / [참고자료 37] 참고 : ▶ 바로가기

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교수·학습 가이드 16-포장재의 관리

▼ 연관 글 보러가기

Leave a Comment